윤승재 인턴 기자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2분기 당기순이익 3조4357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대비 23.8% 증가했다.
KB금융그룹 지난 6개 분기 당기순이익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전반적인 시장금리 하락으로 이자이익이 일부 둔화됐음에도, 전년도 주가연계증권(ELS) 충당부채 적립 소멸, 순수수료이익 확대, 환율 하락 및 주가지수 상승에 따른 비이자이익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7384억원을 기록했다.
자본적정성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6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3.74%, BIS 비율은 16.36%를 기록했다. 또, KB금융은 상반기 주당 배당금 920원 지급과 함께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도 발표했다.
KB국민은행은 2025년 상반기 당기순이익 2조1187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6817억원 증가했다. 이는 방카슈랑스 수수료 및 투자금융 수수료 확대와 전년도 충당부채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2분기 순이익은 1조161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3.1% 증가했다.
지난 달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72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2.4% 증가했으며, 연체율은 0.31%,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35%로 모두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NPL 커버리지비율은 189.1%로 충분한 손실흡수력을 유지하고 있다.
KB증권은 상반기 당기순이익 3389억원을 시현했다. 증시 회복과 금리하락에 힘입어 총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지만, 부동산 PF 충당금 선제 반영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9.9% 감소했다. 2분기 순이익은 159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1106% 감소했다.
KB손해보험은 상반기 당기순이익 558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2.3% 소폭 감소했다. 이는 장기 인보험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책임준비금 환입 기저효과에 따른 보험영업이익 둔화 영향이다. 2분기 순이익은 2446억원으로, 투자수익 감소 영향으로 전분기대비 22% 줄었다. 계약서비스마진(CSM)은 9.2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KB국민카드는 상반기 순이익 181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744억원 감소했다. 이는 가맹점 수수료 조정과 채권 매각 관련 비용 증가 때문이다. 2분기에는 부실채권 매각으로 충당금 환입이 반영돼 순이익 968억원 전분기 대비 14.6% 증가했다. 6월말 기준 연체율은 1.40%, NPL 1.20%로 안정적이다.
KB라이프생명은 상반기 순이익 189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과 유사한 실적을 냈다. 2분기에는 신계약 매출 확대 및 채권 리밸런싱에 힘입어 순이익 1021억원, 계약서비스마진(CSM)은 3조88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KB금융 관계자는 "추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결정으로 올해 주주환원 규모가 총 3조1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ESG 성과 확대, 디지털 기반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