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대표이사 김성환)이 퇴직연금 계좌(DC·IRP)를 통한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금액을 10개월 만에 1조원 이상 늘리며 연금 투자 다변화 추세를 이끌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ETF 투자금액이 약 10개월동안 1조636억원 증가했다. [이미지=더밸류뉴스]
한국투자증권은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ETF 투자금액이 약 10개월 동안 1조636억원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의 DC·IRP 계좌 적립금은 지난해 말 8.4조원에서 이달 11.5조원으로 증가했다. 이 중 ETF 투자금액은 같은 기간 1조748억원에서 3조384억원으로 약 93.6% 늘었고, 계좌 내 비중도 20.8%에서 29.4%로 8.6%포인트 확대됐다.
ETF 직접투자 확산은 글로벌 증시 강세와 함께 대표지수 및 성장 테마형 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특히 50대 가입자들이 ETF 투자를 주도했으며, S&P500·나스닥100 등 미국 대표지수형 ETF 외에도 글로벌 테크·AI 관련 상품이 높은 관심을 받았다.
최근에는 미국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나 중국 및 국내 시장으로 분산이 이뤄지고 있다. 차이나 테크·AI·휴머노이드 ETF, 조선·방산·반도체 ETF 등 국내 산업 섹터형 상품과 금 가격 상승에 따른 금현물 ETF의 잔고도 증가했다.
펀드 투자 역시 전년 말 대비 9577억원(51.7%) 늘어나며 비중이 22.1%에서 24.4%로 확대됐다. ‘한국투자GoldmanSachs미국테크(주식)’과 ‘한국투자MAN다이나믹인컴(채권)’ 등 글로벌 운용사와 협업한 전용 상품이 높은 수요를 보였다.
한국투자증권은 디지털 혁신 기반의 퇴직연금 자산관리 서비스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한 채권 매매 서비스와 예상 수익률·세금 계산 기능을 도입했으며, ETF 적립식 자동투자와 인공지능(AI) 기반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운용 서비스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투자자 편의성과 선택권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