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민 인턴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가 한국어와 사회·문화 맥락을 반영한 AI 모델을 내놓으며, 글로벌 기술에 의존하던 흐름 속에서 ‘국내 맞춤형 대안’을 마련했다. 기업 현장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모델을 통해 자사 AI 전략의 현실성을 점검하고, 국내 생태계 확산의 발판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한국 특화 AI 모델 ‘SOTA K built on GPT-4o(이하 SOTA K)’를 선보였다. [이미지=더밸류뉴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한국 특화 AI 모델 ‘SOTA K built on GPT-4o(이하 SOTA K)’를 선보였다.
SOTA K는 한국어 경어법·방언부터 법률, 금융, 역사 등 산업별 전문 용어까지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T는 고품질 한국 특화 데이터를 대규모로 학습시키고, 자사 데이터 품질 관리·책임 있는 AI(RAI) 역량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기술력을 결합해 모델을 고도화했다.
한국사·법령 등 난이도 높은 영역에서 GPT-4o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는 평가도 나왔다. 실제로 메리츠화재(보험 약관 요약), EBS(교과 문항 생성), 연세의료원(혼합 언어 의료 안내), 한국전력공사(내부 질의 응답) 등에서 도입 효과가 확인됐다.
KT는 이 모델을 국내 클라우드 리전에서 운영하고,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접목해 기업 맞춤형 지식 기반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우선 자사 서비스에 적용해 안정성을 검증한 뒤 파트너사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윤경아 KT Agentic AI Lab 상무는 “SOTA K는 한국 사회와 산업 현장에 특화된 모델”이라며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