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민 인턴 기자
신한카드(대표 박창훈)가 정부 문화소비쿠폰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해 영화·전시·숙박 전반에서 소비가 늘어난 양상을 제시했다. 특히 연령·성별별 이용 차이를 밝히며, 향후 맞춤형 서비스와 데이터 기반 정책 협력으로 연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정부의 문화소비쿠폰 지급 이후 고객 이용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미지=더밸류뉴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정부의 문화소비쿠폰 지급 이후 고객 이용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11일 밝혔다. 그 결과, 영화·전시·공연·숙박 등 주요 문화 업종에서 이용 건수와 금액이 뚜렷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쿠폰 지급 첫 주에 소비 증대 효과가 집중되며, 연령·성별별로 차별화된 이용 패턴도 확인됐다.
문화소비쿠폰은 지난 7~8월 정부가 국내 문화소비 확대를 위해 영화·전시·공연·숙박 분야에 지급한 할인권이다.
신한카드에 따르면 영화 쿠폰 사용 첫 주(7월 25일~31일)에는 주요 예매처 이용 건수가 전주 대비 85%, 이용금액은 42% 늘었다. 다만 건당 결제금액은 23% 줄어 할인 효과가 반영됐다. 특히 40대 여성(121.3%), 30대 여성(108.3%)의 이용 증가율이 높았다.
미술전시 및 공연예술 쿠폰 사용 첫 주(8월 8일~14일)에는 온라인 예매처 이용 건수가 7%, 금액은 6%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건당금액은 감소했으나 20대 여성(4.8%)과 60대 여성(4.2%)은 증가해, 일부 연령대는 할인 혜택을 활용해 더 높은 가격대의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박 쿠폰 사용 첫 주(8월 20일26일)에는 온라인여행사 예약 건수가 5%, 금액은 10%, 건당금액은 4% 늘었다. 특히 7만원 이상 숙박 결제 비중이 소폭 확대됐다. 성별·연령대별로는 남성 5060대, 여성 2030대와 60대에서 이용 증가율이 78%로 높았다. 60대의 건당금액 증가율도 두드러져, 개인·가족 단위 여행 수요가 활발히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