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해상보험(대표이사 이문화)이 자사 보험금 청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립선암 발병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고액 치료비 대비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삼성화재는 11일 전립선암 발병 현황을 분석했다. [사진=삼성화재]
삼성화재는 고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립선암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립선암은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남성암으로, 삼성화재 통계에서도 올해 남성암 발병 1위를 기록했다.
전립선암은 매년 13.6%의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60대 이상 고령자의 발병 비중이 전체 85.6%를 차지해 주요 대상층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전립선암 진단 고객 2596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치료에서 로봇 수술 비중이 85% 이상을 차지했다.
로봇 수술은 본인부담 의료비 평균이 1100만 원으로 고가지만, 수술 후 낮은 합병증 발병률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로봇 수술의 경우 배뇨 장애 합병증 발병률이 일반 수술보다 1.3% 낮게 나타나고 혈뇨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전립선암은 초기에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어렵지만, 정기적인 전립선특이항원(PSA) 선별검사를 통해 초기 진단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립선암 환자의 22.5%가 진단 전에 전립선염·전립선비대 등 전립선 질환을 보유했으며, 전립선 질환 환자는 미보유자 대비 수술 단독 치료 비중이 4.5% 높아 조기 발견이 치료 경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는 이에 따라 50세부터 1년마다 검사하는 것을 권장했다.
이해성 삼성화재 헬스케어사업팀 상무는 "이번 남성암 1위 전립선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자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고객 중심의 보장 공백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치료와 더불어 암 이후의 삶까지 고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