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대표이사 최현만)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6조6724억원, 세전이익 4472억원, 당기순이익 3438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22.5%, 26%, 19% 증가한 수치다.
미래에셋증권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세전이익 1조3135억원, 당기순이익 1조79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브로커리지(Brokerage)와 WM(자산관리) 부문이 모두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올리며 전체 수익성 확대를 견인했다.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은 2637억원으로 전분기대비 22% 증가했으며, 금융상품판매 수수료 수익은 918억원으로 21% 늘었다. 미래에셋증권은 국내 증권사 가운데 처음으로 연금과 해외주식 잔고 모두 50조원을 돌파했다. 고객의 연금 수익은 10조원, 해외주식 수익은 15조원으로, 회사 수익성과 연동된 구조적 성과를 나타냈다.
해외법인 세전이익은 3분기 누적 2990억원으로 전체의 약 23%를 차지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선진국 중심의 트레이딩(Flow Trading) 비즈니스와 베트남·인도네시아·인도 등 신흥시장 자산관리 확대로 상반기에 이어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연 환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8%로 2분기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회사는 향후 해외법인의 독립적 거버넌스 강화, 리스크 관리 체계 고도화, IT 보안 강화 등 내부통제 수준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 감소는 실질적 영업 부진이 아닌 회계기준상 표시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설명했다. 미래에셋증권은 과거 판교 알파돔 부동산을 펀드 형태로 투자했으며, 해당 자산 매각 시 보유 지분 매각 수익은 영업외수익(기타수익)으로, 타 투자자 지분 매각분은 영업비용으로 인식돼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줄어든 것처럼 보였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는 회계처리 방식에 따른 결과일 뿐 영업활동의 실질적 변동은 없으며, 향후에도 투명한 회계기준 준수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