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플레이스(대표이사 최재호)가 단말기 설치 통계를 통해 전국 주요 상권의 결제 흐름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수도권 중심의 디지털 결제 인프라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단순한 단말기 보급을 넘어 지역별 결제 데이터 기반의 상권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결제 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 모습이다.
비바리퍼블리카의 결제 단말기·포스(POS) 솔루션 자회사 토스플레이스는 전국 20만 가맹점 돌파를 기념해 상권별 단말기 설치 통계를 공개했다. [이미지=더밸류뉴스]
비바리퍼블리카의 결제 단말기·포스(POS) 솔루션 자회사 토스플레이스는 전국 20만 가맹점 돌파를 기념해 상권별 단말기 설치 통계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설치가 가장 집중된 지역은 젊은층이 몰리는 서울 마포구 서교동(홍대)으로 나타났다.
홍대 상권에서는 전체 상점 중 약 30%가 토스플레이스 단말기를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토스플레이스의 간결한 디자인과 얼굴인식 결제 ‘페이스페이’ 기능이 Z세대 중심 상권에서 빠르게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위는 부산진구 전포동이었다. 감성 카페가 밀집한 거리 중심으로 젊은 소비층 유입이 활발하다는 점에서 홍대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은 전체 가맹점 수와 결제 건수가 모두 가장 많았다. 대형 상업·업무지구 특성상 외식·미용·의료 등 서비스 업종의 결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 단위로는 제주시가 인구 대비 단말기 설치율 1위를 기록했다. 관광 중심지 특성상 단말기의 미니멀한 외관이 인테리어 요소로 작용하며 로컬 카페·렌터카·기념품점 등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올해 들어 설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약 220%)와 대전광역시(약 240%)였다. 토스플레이스는 이를 비수도권 중심의 디지털 결제 환경 전환 가속 신호로 해석했다.
페이스페이의 확산도 단말기 보급을 견인하고 있다. 토스는 단말기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1초 내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을 기반으로, 내년까지 100만 개 가맹점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