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대표이사 정신아)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AI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논의하는 국제 회의를 열고 기후기술 생태계 확산에 속도를 냈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스타트업·투자자·정책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민간 차원의 구체적 행동을 촉진하는 의미를 가졌다.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AI의 현재와 미래 방향성을 논의하는 국제 회의 자리를 가졌다. 이날 관련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류석영 카카오임팩트 이사장,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학영 국회부의장, 육심나 카카오 ESG부사장,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사진=카카오임팩트]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제주에서 소풍벤처스와 함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 올해 서밋은 민간 기업 중 유일하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연계 공식 프로그램으로 지정됐다. 행사에는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학영 국회부의장, 카카오임팩트 류석영 이사장 등 국내외 전문가 120여 명이 참석했다.
3일간 진행된 서밋은 기후문제의 본질과 기술 적용 사례, 미래 전략을 주제로 15개 세션이 운영됐다. 35명의 연사가 참여해 인공지능(AI)과 에너지, 기후AI 생태계 등 다양한 의제를 다뤘다. 또 스타트업 피칭, 네트워킹 세션 등 실질적인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류석영 카카오임팩트 이사장은 “AI와의 융합은 기후기술 전환의 중요한 계기”라며 “서밋이 기후문제 대응을 위한 행동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기술 혁신이 지속 가능한 사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2023년 체결한 카카오임팩트-소풍벤처스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올해 3회째 진행됐다. 지난 3년간 166개 기관, 약 300명이 참여해 국내 최대 규모의 기후 AI 전문 회의로 자리 잡았다. 카카오임팩트는 향후 ‘임팩트클라이밋 네트워크’를 통해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혁신가들이 전문가와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