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대표이사 이병주)가 동남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와 협력하며 K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 시장에 특화된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급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신공장 착공과 영업망 확대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인접 국가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코스맥스는 10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쇼피코리아 K뷰티 써밋’에 공식 협찬사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선 최경 코스맥스 부회장이 직접 연사로 나서 K뷰티 브랜드를 위한 동남아 현지화 전략을 발표했다.
최경 코스맥스 부회장이 10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소피코리아 K뷰티 써밋'에서 연사로 나서 K뷰티 브랜드를 위한 동남아 현지화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코스맥스]
코스맥스는 지난 2012년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한 이후, 13년간 동남아 시장에 특화된 생산 및 연구개발을 지속해왔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법인은 매출 1000억원을 처음으로 돌파, 현지 유력 ODM(연구·개발·생산)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천연 자생 식물을 활용한 제품 개발과 함께, 쿠션파운데이션과 선케어 제품이 주력 매출원으로 떠올랐다.
특히, 선케어 분야에서 고온다습한 동남아 기후에 맞춘 무백탁, 젤타입 제형과 영유아용 ‘틴티드 선’ 등의 신제품이 인기를 끌고있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두 시장 모두 지난해 선케어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태국 법인도 2018년 설립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소용량 파우치형 화장품 등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군이 주효했으며, 지난해 설립 6년만에 연간 기준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코스맥스는 올해 인도네시아와 태국에 신공장을 착공해 생산능력을 확대, 말레이시아·베트남 등 인접국에도 영업 사무소를 설치하며 영업망을 넓히고 있다. 글로벌 데이터 분석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뷰티 시장은 오는 2029년 약 17조11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태국 시장 역시 약 13조530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경 부회장은 "코스맥스는 화장품 업계에서 동남아 시장 전문가라고 자부하고 있다"며 "현지 생산을 통한 원활한 제품 공급은 물론 동남아 시장에 맞는 제형 개발과 코스맥스와 쇼피가 보유한 현지 시장 데이터를 통해 현지 성공스토리를 만들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서비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