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항체 시장은 향후에도 양적, 질적 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박제임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바이오재팬 2025(BIO Japan 2025, 이하 바이오재팬)’이 열리고 있는 퍼시피코 요코하마 행사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향후 글로벌 항체 시장을 이같이 전망했다.
박제임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글로벌 CDMO 리더로 도약'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박제임스 대표이사는 바이오 재팬 3일차인 10일 ‘제약의 미래, 새로운 정의: 차세대 ADC(항체-약물 접합체)를 위한 CDMO(위탁개발생산) 전략’을 주제로 회사의 글로벌 CDMO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검증된 생산 역량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과 수요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 산업의 미래 재정의: 차세대 ADC를 위한 CDMO 전략’
산업 환경의 변화 추이와 시장 동향,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차별화 전략으로 구성된 발표에서는 미국내 생산 수요의 증가로 인한 공급망 재편 움직임과 글로벌 항체 시장의 전망, 새로운 ADC 플랫폼의 확산 트렌드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미국과 한국의 ‘듀얼 사이트(Dual Site)’에 기반한 지정학적 이점과 FDA, EMA, PMDA 등 62건 이상의 규제기관 승인 경험, 평균 15년 이상의 바이오 경력을 가진 핵심인력의 보유, 대량 생산 허브로서의 송도 바이오 캠퍼스와 항체부터 ADC까지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의 시너지를 언급했다.
아울러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한 ADC 개발 역량도 함께 강조했다. 기존의 ADC 기술이 정형화된 플랫폼에 기반했다면, 최근에는 이중특이성, 이중약물탑재,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결합체(AOC)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다수의 글로벌 바이오 기업과 협업에 기반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 역량을 강조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의 성과와 함께 글로벌 ADC CDMO로서의 차별화된 전략을 밝히는 자리를 마련했다.
바이오재팬은 1986년부터 매년 개최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바이오 행사다. 올해로 세 번째 참가하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보다 두 배 커진 단독 전시 부스에서 잠재 고객사와의 접점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박제임스 대표가 직접 연사로 나서 차세대 ADC CDMO로서의 전략도 밝혔으며,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 겸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도 행사에 참석해 미팅에 참석하는 등 글로벌 CDMO 시장에서 회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 소통에 나섰다.
◆행사 전부터 진행된 물밑 작업, 현지서 빅파마들과 긴밀한 협의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세 차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을 알리며 다양한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수주 관련 교류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바이오재팬 일정 이전부터 일본 현지에서 빅파마들과 긴밀한 협의를 가졌고 이어서 바이오재팬이 열리는 요코하마로 이동해 잠재 고객사들과 파트너링을 이어갔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바이오 재팬 기간동안 400여 명이 부스를 방문했고, 계획된 파트너링 미팅 외에도 현장 부스에서 진행된 미팅 등 수 십 건의 미팅을 진행했다”며,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에 대한 관심은 물론 송도 바이오 캠퍼스 구축이 가시화되며 방문 요청을 비롯한 다양한 문의도 이어졌다” 고 말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8일 ‘CPHI World Wide’와 11월 ‘World ADC’ 참가를 앞두고 있다. 바이오재팬에서의 추가 수주 계약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에서도 성과를 확대하는 데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