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홍순화 기자]

우미건설(대표이사 배영한 조성준 김영길 김성철)이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린 GPT'로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도슨티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린 GPT'는 시공, 설계, 안전 등 건설 전반에 걸친 실시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미건설, AI로 건설현장 혁신 선도...\ 린 GP\ 로 업무 생산성↑’린 GPT’의 시공 AI 실행 장면. [사진=우미건설]

업계에서는 이번 AI 개발을 건설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하고 있다.


'린 GPT'의 가장 큰 특징은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공공데이터와 자체 축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다. 그간 정보 접근성이 낮았던 건설업의 특수성을 완벽히 반영한 맞춤형 AI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물산, 대우건설, GS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도 자체 AI 개발에 힘을 쏟고 있어, 우미건설의 이번 시도는 업계 디지털 혁신의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혜원 우미건설 건축본부 기술 담당 상무는 "린 GPT를 통해 본사와 현장 간 정보 격차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AI 기술을 통해 품질 향상과 안전 관리에 혁신을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외부 AI 서비스인 챗GPT 연결 기능과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건설기준센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 제공은 이 AI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평가된다.


업계 관계자는 "우미건설의 이번 AI 개발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건설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앞으로 더 많은 건설사들이 유사한 AI 솔루션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미건설의 '린 GPT'가 건설산업의 새로운 혁신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hsh@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8-10 00:02: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