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넷(대표 조영탁)이 올해 국내 기업들은 ‘AI 교육’에 가장 많은 투자를 했고 내년에 이 추세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휴넷이 국내 371개 사 인사·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6 기업교육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휴넷]
휴넷은 국내 371개 사 인사·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6 기업교육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2025년 기업들이 가장 많이 투자한 교육 분야(복수 응답)는 ‘AI 교육’(33.7%)이다. 개인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다루는 ‘전문 직무 교육’(32.1%), 기본 업무 스킬을 다지는 ‘공통 역량 교육’(31.8%)이 뒤를 이었다. ‘신규 입사자 온보딩’(27.5%), ‘승진자·직급별 교육’(22.4%), ‘핵심 인재 교육’(19.4%), ‘리더·임원 교육’(18.6%)도 있었다.
내년 교육 예산 전망에는 ‘동결’(44.5%)이 가장 많았다. 이어 ‘0~10% 증가’(19.9%), ‘10% 이상 증가’(15.9%) 순이었고 예산 동결 또는 증가가 80% 이상이었다. ‘0~10% 감소’ 8.6%, ‘10% 이상 감소’ 4.3%, ‘미정’ 6.7%였다.
예산 증가 이유로는 ‘AI 역량 강화’가 가장 많이 꼽혔고 감소 이유로는 ‘경기 침체 및 매출 감소 등 경영상 이유’가 있었다.
내년 기업교육에서 가장 중점을 둘 분야(복수 응답)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AI 교육’(50.9%)이 1위였고 ‘전문 직무 교육’(38.3%), ‘공통 역량 교육’(29.9%)이 2~3위를 유지했다. 상위권 순위의 변동은 없으나 ‘AI 교육’ 응답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핵심 인재 교육’(27.2%), ‘신규 입사자 온보딩’(25.6%), ‘리더·임원 교육’(24.3%), ‘승진자·직급별 교육’(24.0%) 순으로 집계됐다.
내년에 계획 중인 직원교육 형태(복수 응답)는 ‘오프라인 교육(집합 교육)’(66.6%)이 가장 많았고 ‘온라인 교육’(54.2%)과 ‘하이브리드 교육(온·오프라인 병행)’(29.6%)이 뒤를 이었다. 온라인 교육의 확산과 함께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교육 방식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학습조직·학습커뮤니티’(19.9%), ‘구독형 교육’(18.3%), ‘독서 교육’(8.9%) 응답이 있었다.
직원 1인당 적정한 교육비는 ‘연 10~30만원’(44.5%)이 가장 많았고 ‘연 30~50만원’(26.1%), ‘연 10만원 미만’(15.4%), ‘연 50만원 이상’(13.7%) 순이었다.
교육 효과 측정 방식(복수 응답)은 ‘교육 만족도 조사’(72.0%)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학습 참여 데이터 분석’(37.5%), ‘사전·사후 진단’(22.9%), ‘현업 적용도 평가’(21.6%), ‘성과지표 연계’(12.7%), ‘측정하지 않음’(7.5%) 순이었다.
휴넷은 AI 역량이 업무 효율성과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며 앞으로 기업들의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