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대표이사 기우성 김형기 서진석)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짐펜트라(ZYMFENTRA, 램시마SC 미국 브랜드명)가 일관된 치료효과를 확인하며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했다. 향후 치료 전략 확대로 처방 가속화가 기대된다.
셀트리온의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 제품. [이미지=셀트리온]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의 피하주사 제형 ‘짐펜트라’가 글로벌 임상 3상 사후분석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사후분석 결과, 크론병 환자의 염증 부위와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일관된 치료효과를 보였다.
이번 분석은 343명의 중등도·중증 활성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 ‘LIBERTY-CD(최대 102주간 짐펜트라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3상 시험)’의 사후검토 결과다. 연구팀은 대장 내시경 평가를 기반으로 소장·대장 등 장기별, 회장 말단·좌측 결장·수평 결장·우측 결장·직장 등 세부 부위별 치료 반응을 비교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질환으로 염증 부위에 따라 소장형·대장형으로 구분한다. 특히 소장형은 진단이 어렵고 협착·천공 등 합병증이 발생하기 쉬워 치료 전략이 제한적이다. 기존 치료제는 염증 위치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지적이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인플릭시맙 SC를 1년간 유지 투여한 환자군은 염증 위치와 관계없이 위약 대비 유의미한 점막 개선 효과를 보였다. 소장형을 포함해 회장 말단부터 결장, 직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절에서 개선 효과가 확인되며 기존 치료제의 부위별 반응 편차 문제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이번 결과는 SCI 저널 ‘임상 위장병학 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2024년 기준 영향력 지수(IF) 12.2로 관련 분야 상위권에 속한다. 셀트리온은 이번 연구가 짐펜트라의 임상적 근거를 강화해 다양한 치료 전략에서 사용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