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자산운용(대표이사 박용명)이 퇴직연금 제도 변화에 맞는 운용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퇴직연금 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기금형 도입 논의와 글로벌 자산배분 수요 확대 속에서 연금 수익률 제고 방안을 공유하려는 목적이다.
DB자산운용은 12일 '퇴직연금 전략 세미나'를 더 플라자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사진=DB자산운용]
DB자산운용은 12일 '퇴직연금 전략 세미나'를 더 플라자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DB자산운용은 이날 세미나에서 연금·금융시장 전문가를 초청해 퇴직연금 운용 환경 변화와 자산배분 전략을 제시했다.
남재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방안 및 시사점’을 주제로 퇴직연금 지배구조 개편 필요성을 설명했다. 남 연구위원은 제도 지속가능성과 장기 수익률 개선을 위해 기금형 도입의 정책적 필요성을 짚었다.
문홍철 DB증권 위원은 채권시장 전망을 토대로 한 자산배분 전략을 소개했다. 문 위원은 장기 투자 관점에서 변동성 확대기에 채권 중심 분산투자가 퇴직연금 안정성 확보에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이정두 DB자산운용 상무는 회사의 자산배분 전략과 실제 운용 사례를 설명했다. 이 상무는 퇴직연금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투자 성향별 분산 전략을 제시했다. 또 DB 외부위탁운용(OCIO·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 자산배분펀드 시리즈, DB자동으로변하는 목표시점형펀드(TDF·Target Date Fund)시리즈, DB골든시니어인컴목표소득형펀드(TIF·Target Income Fund) 등 상품 라인업을 언급하며 연금 운용 선택지를 설명했다.
DB자산운용은 퇴직연금 수익률 부진과 제도 복잡성을 지적하며, 제도 변화 이해와 장기 관점의 운용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앞으로도 연금 시장 변화에 맞는 정보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