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향후 5년간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을 공급해 미래 전략산업 육성과 국가균형발전에 속도를 낸다. 금융 본연의 기능을 ‘자본의 생산적 전환’에 두고 정부의 산업육성 정책과 보조를 맞추겠다는 방침이다.
KB금융그룹이 5개년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 공급 추진을 발표했다. [자료=KB금융그룹]
KB금융그룹은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력과 조달 역량을 기반으로 2030년까지 생산적금융 93조원, 포용금융 17조원을 공급할 계획이다. 생산적금융은 투자금융 25조원과 전략산업 대출 68조원으로 구성되며, 이 중 국민성장펀드 10조원과 그룹 자체 투자 15조원을 통해 첨단산업과 유망기업에 자금을 투입한다.
또한 수도권 집중 완화를 목표로 한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에 맞춰 지역 맞춤형 산업·인프라 프로젝트 투자도 확대한다. 신재생에너지, 데이터·AI센터, 물류·항만 등 권역별 핵심산업과 연계한 성장 프로젝트 발굴에 나선다.
포용금융 17조원은 서민·취약계층, 소상공인 자영업자 대상 금융지원 및 채무조정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KB금융은 포용금융 강화를 통해 경제적 취약계층의 재기와 자산 형성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지난 9월 출범한 ‘KB금융그룹 생산적금융 협의회’를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추진 체계를 마련했다. 협의회에는 계열사 사장단 등 21명이 참여해 실적 점검과 실행 전략을 논의한다. 은행은 첨단산업 대출을 담당할 심사부서를 신설했고, 증권은 미래산업 리서치 조직을 개편했으며 자산운용사는 첨단산업 운용실을 신설했다.
최근에는 금융위원회 주관 생산적금융 점검회의에서 총사업규모 3.3조원에 달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주선(국민은행·산업은행 공동)’을 대표 사례로 제시했다. KB증권은 증권사 최초로 정부 상생결제대출 시장 진입 계획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