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 머니무브’ 리포트 발간

  • 기사등록 2025-11-07 10:54:20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도하 기자]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센터장 이상건)가 국내 퇴직연금의 중심축이 (확정급여)DB형에서 (확정기여)DC형으로 이동하는 ‘머니무브’ 현상을 분석하는 리포트를 발간했다. 리포트에서는 임금 구조 변화와 운용환경 개선을 주요 원인으로 제시했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 머니무브’ 리포트 발간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7일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의 머니무브가 시작됐다’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미지=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제 69호 리포트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의 머니무브가 시작됐다’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확정급여형 비중은 지난 2012년 73.9%에서 2024년 49.7%로 낮아지며 퇴직연금 도입 이후 처음으로 과반에 미달했다.


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임금체계의 구조적 변화에 의한 기대효용 감소를 제시했다.


신입과 장기근속자 간 임금격차는 지난 2016년 2.3배에서 2024년 2배로 완만해졌고, 실질임금상승률 역시 최근 5년간 0%대에 머무르는 등 임금상승의 관성 약화가 지목됐다.


퇴직연금 운용환경 개선도 확정기여형 확산을 뒷받침했다. 지난 2015년 규제 전환, 위험자산 한도 상향, 2022년 디폴트옵션 도입 등 제도 개선으로 승인상품 내 위험자산 편입이 최대 100%까지 가능해졌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확정기여형 운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분산투자와 연금자산 리밸런싱을 자동화하는 타겟데이트펀드(TDF)·일임형 상품의 역할도 확대될 전망이다.


실제 화정기여형 퇴직연금의 실적배당형 비중은 지난 2024년 23.3%로 최근 5년간 7.6%p 상승했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저성장·임금 평탄화 환경에서는 ‘최종임금’보다 ‘글로벌 분산투자와 주기적 자산 리밸런싱’이 노후 성과를 좌우한다”며 “디폴트옵션 개선과 금융투자교육을 통해 가입자의 자산이 스스로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가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asd6573@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11-07 10:54: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그 기업 궁금해? 우리가 털었어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리그테이블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