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글로벌(대표이사 윤성태 송수영)이 올해 2분기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액 2127억원, 영업이익 115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대비 매출액 1.4% 증가, 영업이익 -16.9% 감소했다.
휴온스글로벌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장 경쟁이 심화되며 휴메딕스와 휴온스바이오파마 등 에스테틱 자회사 실적이 둔화돼 줄었다.
연구개발(R&D) 비용이 증가한 점도 영업이익 감소에 반영됐다. 올해 휴온스그룹 연구개발비는 상반기 34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327억원보다 4% 증가했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7.9%에서 8.2%로 증가했다.
휴온스는 2분기 매출액으로 연결기준 매출액 1560억원, 영업이익 13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4.7%, 40.3% 증가한 수치다. 2분기 매출액은 1500억원대를 넘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전문의약품 매출은 692억원으로 대사성 질환 의약품과 주사제 수출이 실적을 견인했다. 뷰티∙웰빙사업은 422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이는 건강기능식품사업부 분할합병으로 지난 5월부터 매출이 자회사인 휴온스엔으로 이관됐기 대문이다. 건기식 사업부의 매출을 제외한 뷰티∙웰빙 매출액은 3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7% 성장했다. 특히 연속 혈당측정기 '덱스콤 G7'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돋보였다. 수탁(CMO) 사업은 2공장 점안제 라인 가동률이 증가하며 20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휴온스 종속회사 휴온스엔은 2분기 매출액 18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6.7% 증가했다. 휴온스생명과학은 64억원으로 29.5% 증가했다. 또 지난해 말 휴온스가 인수한 팬젠은 올 6월부터 연결 대상 종속기업으로 편입됐다.
휴온스그룹 에스테틱 자회사인 휴메딕스는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2분기 매출액 430억원, 영업이익 10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각각 6.3, 17.3% 감소했다. 핵심 사업인 필러 수출 성장세는 이어졌고 화장품 수출도 늘었다. 이에 에스테틱 사업부의 해외 매출은 호실적을 기록했으나, 국내 필러∙톡신과 전문의약품 CMO 매출은 감소했다.
휴메딕스의 해외 사업은 중국에서의 안정적인 매출과 브라질 남미 지역 필러 수출 증가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화장품은 중국, 베트남, 일본 등에 대한 수출이 증가했다.
헬스케어 부자재 자회사인 휴엠앤씨는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 134억원, 영업이익 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1.8% 증가, 40.3% 감소했다.
글라스 사업부문의 매출은 전년대비 11.4% 증가한 91억원을 기록했다. 코스메틱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42억원으로 전년 대비 52.4% 증가했다. 원가율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휴엠앤씨는 올 2분기부터 가동 시작한 베트남 생산기지로 의료용기 생산능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보툴리눔 톡신 자회사 휴온스바이오파마는 2분기 매출액 78억원, 영업이익 3억원을 기록했다. 의료기기 자회사 휴온스메디텍은 매출액 143억원, 영업이익 5억원을, 밀키트 자회사 푸드어셈블은 매출액 21억원, 영업손실 4억원을 기록했다.
휴온스랩은 인간 유래 히알루로니다제 등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5월 국내 임상 1상 마지막 환자 등록을 마쳤다. 임상 1상 결과에 따라 연내 품목허가를 신청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혈청알부민 없이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인간 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제형에 대한 국내 특허를 획득하는 등 지식재산권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