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대표이사 홍범식)가 2분기 매출액 2조8958억원, 영업이익 75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4.1% 증가, 영업이익은 35.9% 감소했다.
신세계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백화점 사업은 이상기후와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에도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전년과 비슷한 총매출액 1조746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미래준비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지속하며 13.3% 감소한 709억원이었다.
신세계백화점은 센텀시티 ‘하이퍼그라운드’, 강남점 식품관, 본점 ‘더 헤리티지’와 ‘디 에스테이트’를 리뉴얼하며 본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강남점 전국 1위, 센텀시티 전국 3위를 달성했다.
하반기에는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의 마지막 단계인 즉석조리식품(델리)코너를 오픈해 국내 최대 규모 식품관을 완성하고 신세계 본점 ‘더 리저브(전 본관)’를 오픈할 예정이다.
신세계디에프는 매출액 6051억원, 영업손실 15억원으로 매출액은 22.9% 증가, 영업손실은 109억원 감소하며 적자전환했다. 비즈니스 관광객 중심 마케팅 제휴와 시내·공항면세점 브랜드 개편으로 외형은 성장했으나 인천공항 정상 매장 전환에 따른 임차료 증가로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중국인 무비자 입국 등 하반기 업황 개선 효과로 개별 관광객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과 ‘Taste of SHINSEGAE’ 등 차별화 콘텐츠를 더해 실적을 개선할 계획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액 3086억원, 영업손실 23억원으로 매출액 3.8% 감소, 영업손실 156억원 확대되며 적자전환했다. 뷰티부문은 매출액 1156억원, 영업이익은 24억원이다. 자사·수입 화장품이 모두 좋은 실적을 기록했고 지난해 인수한 어뮤즈가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 스킨케어 브랜드 '연작'도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80.7% 성장했다.
소비심리 저하에 따른 패션부문 침체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투자비 증가가 영향을 줬으나 향후 성장성 높은 해외 브랜드를 지속 도입하고 브랜드 효율화 작업과 리브랜딩을 통해 실적을 개선할 계획이다.
신세계까사는 매출액 583억원, 영업손실 18억원으로 매출액은 10.4% 감소, 영업손실은 13억원 확대됐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매출액이 일시적으로 하락했고 환율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 부담이 더해졌다. 하반기에는 메가 히트 시리즈 캄포와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 사업을 확장해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매출액 802억원, 영업이익 60억원으로 매출액은 1.5% 감소, 영업이익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신세계센트럴은 매출액이 1.5% 증가한 964억원을 기록했으나 부동산 보유세, 이른 더위로 인한 수도·광열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11억원 감소한 98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