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대표이사 이준희)가 2021년 이후 매년 보안 위협 동향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도 주요 사이버 보안 위협의 사례와 대응방법 등을 정리했다.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를 분석해 2025년 주의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삼성SDS CI. [이미지= 삼성SDS]
이는 △AI 악용 피싱에 대비해야 하는 'AI 보안 위협' △장기 방치 자격 증명에 따른 '클라우드 보안 위협' △이중갈취전략으로 진화 중인 '랜섬웨어 공격' △오픈소스 악성코드 유입 'SW 공급망 보안 위협' △초연결사회의 OT/IoT 보안 위협이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삼성SDS는 △AI 기반 지능형 보안 솔루션 도입 △클라우드 플랫폼 보안 강화 △기업 정보시스템 접근 권한 관리 △파트너 IT/보안 체계 관리 △강력한 인증 및 정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을 제안했다.
삼성SDS 장용민 보안사업담당 상무는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 위협이 지능적이고 교묘해지고 있으며, 전사적 관점의 위기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삼성SDS는 국내외 주요 사이버 보안 위협과 이에 대한 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