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대표이사 이동훈)이 남미 제약사와 손잡고 미국에 조인트 벤처를 설립한다.
SK바이오팜은 현지 시간 1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에서 남미 최대 제약사 중 하나인 유로파마(Eurofarma)와 미국 내 조인트 벤처(JV) 설립을 발표했다. 이는 SK바이오팜이 북미 시장에서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이동훈 SK바이오팜 대표.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과 유로파마는 2022년부터 SK바이오팜의 혁신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중남미 지역 출시를 위해 협력해왔다. 유로파마는 이번 JV에서 개발할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세노바메이트의 시너지 효과에 주목했다. 양사는 그간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력과 경험을 융합해 북미 시장 진출을 겨냥한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JV는 SK바이오팜이 2018년부터 자체 개발해 온 뇌파 분석 인공지능(AI) 기술과 뇌파 측정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AI 기반 뇌전증 관리 솔루션'의 상용화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뇌전증 발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의료진의 데이터 기반 최적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환자-의료진 간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JV는 환자와 의료진, 병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는 환자 접점 플랫폼 구축에 주력한다. 환자의 건강관리와 치료과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지원하고 의료진에게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진단과 처치를 제공하는 이 플랫폼은 양사의 약물 파이프라인과 시너지를 이루며, 향후 신경계 및 만성질환 관리 분야로 확장될 전망이다.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에 설립될 JV는 현지 경영진 채용과 현지화 전략을 수립 중이다. 또한 기존 세노바메이트 직판으로 구축된 미국 내 의료진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활용해 신속한 시장 진입을 추진한다. JV는 이미 최소 3년간의 개발 및 운영 자금을 확보했으며, 이를 토대로 장기 성장 전략을 실행할 예정이다.
중남미 지역의 주요 제약사인 유로파마는 다년간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투자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JV에서는 사업 전략 수립과 AI 학습 데이터 확보에 기여하며, JV의 북미 시장 안착을 지원한다.
SK바이오팜의 디지털 헬스케어 전략은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ZERO'와 AI 기반 신약 연구개발 플랫폼 '허블(HUBLE) 플러스'를 양대 축으로 추진된다. ZERO는 이번 JV를 통해 기술 고도화와 상업화에 속도를 내고, 허블 플러스는 SK바이오팜의 신규 R&D 모달리티인 RPT와 TPD 분야의 연구 효율성을 높이는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허블 플러스는 기존 허블 플랫폼을 강화한 버전으로, 유연한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개발과 외부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신약개발 R&D 플랫폼 구축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