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엘리베이터(대표이사 조재천)가 승강기에 첨단 기술 도입으로 이용자들의 불편 최소화에 나선다.
현대엘리베이터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관리원장 전윤종) 국책 과제로 수행한 '승강기 가용시간 증가를 위한 운영 및 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을 통해 엘리베이터 정지·고장으로 인한 운행 중단 건수를 43% 감소시켰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엘리베이터 주관으로 지난 2020년 4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33개월간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 한국기계연구원(연구원장 박상진), ㈜이알씨(대표이사 장석영) 등이 함께 참여했다.
현대엘리베이터 유지관리 전문가가 27일 원격으로 엘리베이터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사진=현대엘리베이터]
이번 연구는 감지·빅데이터·인공지능(AI) 예측 기술의 발전으로 고장 발생 전 미리 감지해 사전 대응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착안해 추진됐다. 기존 승강기 유지관리는 고장 발생 후 사후 대응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된 바 있다.
주요 개발 기술은 부품 수명 측정 모델, 고장 탐지 및 분류 서비스, 고장 전 탐지 경보 서비스, 승강기 전용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은 최적의 부품 교체 주기를 인지 및 문제 발생 시 대응책을 마련하고, 서비스 기사는 고장 신고 접수와 동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정보를 얻게 돼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전국 47개 현장 1010대 승강기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이전 대비 정지 고장 발생 건수가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대엘리베이터는 이번 연구 성과를 적용한 서비스를 오는 6월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