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분기 RFHIC(218410)의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미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5G 시장규모가 커질 거라는 분석이다. RFHIC는 무선통신 및 방위산업에서 활용되는 부품을 설계 및 제조하는 업체로, 5G 산업에 필요한 질화갈륨(GaN) 트랜지스터를 생산한다.
RFHIC의 GaN 트랜지스터. [사진=더밸류뉴스(RFHIC 제공)]
이 회사의 올해 2분기 매출액,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은 각각 147억원, 27억원, 11억원으로 전년비 매출액은 58.47% 감소하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했다.
실적 부진의 원인은 미중 무역분쟁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해외 통신사의 5G 투자 지연 등을 꼽을 수 있다. RFHIC는 미국 크리(CREE)가 생산하는 SiC(실리콘 카바이드)로 GaN을 만들지만, 중국의 화웨이와 주로 거래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된 미중 무역분쟁으로, 이 회사의 화웨이향 GaN 트랜지스터 공급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다.
RFHIC 최근 실적. [사진=더밸류뉴스]
이승웅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RFHIC가 삼성전자와의 거래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미국의 Verizon(버라이즌)과 AT&T, 캐나다의 TELUS(텔러스)와 5G 장비 공급사로 선정되며 북미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8월 미국 Sub-6GHz(5G 주파수 중 6GHz 이하의 주파수) 경매가 종료됐고 연이어 12월 3.7GHz 주파수 경매가 예정되어 있다. 이 연구원은 현재 미국 통신사를 중심으로 통신장비 공급 관련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9월 이내로 발주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RFHIC 최근 1년 주가 추이. [사진=더밸류뉴스(네이버 금융 제공)]
RFHIC는 미중 무역분쟁 여파 등으로 올해 2월 3일 52주 신저가(2만6700원)를 기록했다.
그러나 향후 해외 5G 투자 확대로 4분기부터 이 회사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부분 국가에서 5G는 Sub-6GHz(5G 주파수 중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상용화가 우선적으로 이뤄져 있다. 향후 mmWave(30~300GHz 대역 주파수) 상용화에 따른 질화갈륨(GaN) 트랜지스터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