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입주민 연료비 부담을 줄이고 안전하게 난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별난방과 지역난방 시스템을 개선했다.
LH는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과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 등을 이용해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했다고 11일 밝혔다.
LH는 입주민의 연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안전한 난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했다. [이미지=LH]
먼저 개별난방 구조에는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을 적용한다.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은 건물 내 기계실에 여러 대의 보일러를 설치하고, 필요한 만큼만 가동하는 중앙집중형 시스템이다.
중앙집중 방식으로 기존방식 대비 약 20%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세대 내 보일러실이 사라져 주거 공간도 넓어진다. 또 일부 보일러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보일러가 자동으로 보완운전해 한겨울에도 안정적인 난방 공급이 가능하다.
적용 대상은 장기 공공임대 50㎡ 이하 단지 중 300세대 이상 단지로, 올해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설계 여건 등을 고려해 적용된다.
지역난방에는 AI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적용한다. 기존에는 난방용과 온수용 배관이 분리된 구조라 열손실이 크고 유지관리가 복잡했다. 이에 LH는 난방용 배관과 온수 배관을 통합하고 AI를 활용해 온도와 유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세대별 열수요를 예측해 열공급을 지원하며, 열손실 최소화로 약 9%의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내년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지역난방에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입주민이 연료비 부담 없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거환경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