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대표이사 김연섭)가 3분기 매출액 1437억원, 영업손실 343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대비 각각 32% 감소, 26억원 늘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미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 폐지로 북미 전기차 시장이 둔화되며 주요 고객사의 전기차향 판매량이 감소됐고 이로 인해 가동율 회복이 지연되며 매출액이 감소했다.
다만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23.7%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재무 안정성을 토대로 자금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4분기 이후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AI데이터센터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관련 회로박 제품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전지박은 국내 배터리 고객사들의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 확대로 북미 지역 성장세가 뚜렷할 것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국내 유일 회로박 제조기지인 익산공장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탈중국 소재 수요를 충족하고 고객사 제품 공급 안정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북미지역 중심으로 ESS 용도별 차별점에 맞는 기술 맞춤형 제품으로 기존 고객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신규 고객을 발굴해 전지박 시장 수익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AI용 고부가 회로박은 글로벌 AI데이터센터 시장이 성장하며 관련 소재, 부품, 장비 산업도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외 다수 고객사들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에 AI용 회로박 증설을 요청하고 있고 내년 고객사 주문량은 현재 생산량을 초과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국내 유일 회로박 공장인 익산공장의 전지박 라인을 AI용 회로박 라인으로 전환해 AI용 회로박 생산량을 내년에 기존대비 1.7배, 2028년에 5.7배 확대할 계획이다. 익산공장은 AI데이터센터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동박의 신호전송 손실이 낮은 물성을 충족하는 회로박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고객사들의 북미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확대에 따라 극박과 후박 ESS용도의 동박 기술적 차별점을 토대로 기존 고객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신규 고객사를 발굴할 계획이다.
후박은 제조 난이도가 높아 전세계 동박 기업 중에서도 제조사가 한정적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0㎛ 이상 두께의 후박을 제조하고 있고 초극박, 고강도, 고연신을 동시 구현하는 극박 제품 ‘HiSTEP’을 양산하고 있다.
앞으로 AI용 고부가 회로박, ESS용 전지박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전환해 시장 불확실성에 신속히 대응하고 미래 성장기회를 빠르게 선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