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수민 기자]

KB증권(대표이사 이홍구, 김성현)이 자문·관리형 상품(Fee-Based)을 중심으로 자산관리(WM)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며 단기 실적보다 고객 신뢰 기반의 장기 자산관리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익구조를 판매 중심에서 자문 중심으로 전환해 WM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KB증권, Fee-Based 자산관리 확대…고객 중심 장기 체계 구축KB증권이 자문·관리형 상품(Fee-Based)을 중심으로 자산관리(WM)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이미지=더밸류뉴스]

KB증권은 사모펀드, 랩어카운트, 신탁 등 자문·관리형 상품을 중심으로 자산관리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사모펀드와 랩어카운트 판매를 확대하며 맞춤형 상품 공급 역량을 높였고, 시장 상황과 고객 투자 성향에 맞춘 Fee-Based 자산 비중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특히 국내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운용 성과가 우수한 주식형 사모펀드를 공급한 결과, 지난 10월말 기준 증권형 사모펀드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8040억원을 기록했다.


랩어카운트 부문도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본사 주식형 랩 판매액은 77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고, 투자형 랩 수익은 전년 대비 82% 늘었다. Fee-Based 자산 증대로 WM 전체 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30%, WM수익은 8% 증가했다. 이는 단기 판매 중심의 영업에서 벗어나 자문·관리형 수익 구조로 전환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성과는 전문 인력 중심의 영업 체계 강화와 운용사, 영업점, 고객 간 협업에 기반하고 있다. KB증권은 상품별 운용사 간담회와 세미나, 영업 지원 활동을 통해 고객의 투자 성향과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상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투자 전문가(Investment Consultant·IC)의 역할도 핵심으로 부상했다. 투자 전문가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고객의 투자 성향과 목표를 분석해 포트폴리오 구성부터 사후 관리까지 전 과정에 걸쳐 자문을 제공한다.


KB증권은 올해 200회 이상의 투자 전문가 동반 영업과 PB 대상 세미나를 진행하며 현장 중심의 자산관리 역량을 한층 강화했다. 세무·부동산·법률 등 전문 분야 세미나를 통해 고객의 금융 이해도를 높이고, 장기적 관점의 자산관리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Fee-Based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은 고객 관점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고객 자산 성장이 판매사의 수익과 연동돼 단기 실적 위주의 영업을 줄이고 이해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객은 투명한 비용 구조 아래 장기 성과 중심의 운용 서비스를 통해 시장 변동기에도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유지할 수 있다.


박민배 KB증권 상품전략그룹장은 “Fee-Based 중심의 자산관리 성장 전략은 고객과의 지속 가능한 동반 성장 체계 구축의 핵심 과제”라며 “앞으로도 투자 전문가 중심의 자산관리 역량을 강화해 고객 자산 성장 여정에 실질적 가치를 더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smlee682@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11-11 15:32: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그 기업 궁금해? 우리가 털었어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리그테이블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