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의 여파로 상반기 은행지주회사의 순이익이 6,700억원 가까이 감소했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연결기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은행지주사 7곳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은 3조4,405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665억원(16.2%)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 4,104억원의 순이익을 냈던 농협금융지주는 1,385억원 적자를 냈다. 신한과 KB금융 순이익은 각각 7.4%, 1.7% 감소했다.

STX조선해양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손 비용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대손 비용은 은행이 대출해준 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에 대비해 대출금의 일정 비율을 미리 손실 처리해두는 것을 뜻한다.

은행지주회사별 연결반기순이익 현황

상반기엔 JB금융지주 순이익(745억원)이 37.2%의 큰 폭 증가세를 보였다. 하나금융지주 순이익은 10.4% 증가했다.

신한금융지주의 순이익이 상반기 1조3,102억원으로 7개 은행지주 중 가장 많았다. 이어 KB(9,102억원), 하나(8,187억원), BNK(3,070억원), DGB(1,584억원) 순이었다.

AKR20160925043900002_02_i

6월 말 현재 은행지주사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3.96%로 지난해 말보다 0.24%포인트 높아졌다. 자본 건전성이 더 좋아졌다는 뜻이다. 보통주 자본비율(10.99%)과 기본자본비율(11.61%)도 각각 0.45%포인트, 0.38%포인트 높아졌다. KB지주(15.11%)의 총자본비율이 가장 높고 BNK(11.69%)가 가장 낮았다.

은행지주의 부실채권 비율도 1.19%로 작년 말보다 0.16%포인트 하락했다. 부실채권비율은 농협지주(1.81%)가 가장 높았고 하나(1.23%), DGB(1.22%), JB(1.14%)가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은행지주들이 내수경기 부진,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자산 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그룹 차원의 통합리스크 관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9-26 13:10: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