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288819_101809_5411

지난 1일 인터파크는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인터파크는 1996년 6월 1일부터 시작된다. 당시 데이콤에서 근무하던 이기형 창업자는 당시로서는 개념조차 생소했던 「전자상거래」 사업을 해보겠다며 사내벤처기업을 설립했다. 이름은 인터파크. 「인터넷 테마파크」의 줄임말로 고객들에 「무형적 테마파크」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인터파크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인터넷 종합쇼핑몰로서 공연티켓, 도서, 여행 부문에서 명실상부 국내 선두기업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인터파크는 G마켓을 경쟁업체인 옥션의 이베이에 넘긴 2009년을 기점으로 성장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1KWJ0O77BT_1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인터파크 매출액은 2013년 3,855억원에서 2014년 4,073억원으로 사실상 제자리를 맴돌다 지난해 4,020억원으로 뒷걸음질쳤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각각 204억원, 171억원, 234억원으로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한때 주력사업이었던 오픈마켓 부문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 777억원에 4억원 적자를 본 데 이어 올 1·4분기에도 186억원 매출에 12억원 적자를 내며 빨간불이 켜졌다.

인터파크의 부진은 최근 경쟁업체들의 급성장세와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G마켓과 옥션을 운영중인 이베이코리아는 2013년 매출액 6,622억원·영업이익 477억원, 2014년 매출액 7,339억원·영업이익 562억원, 2015년 매출액 7,994억원·영업이익 801억원으로 인터파크를 압도했다. 소셜커머스업체인 쿠팡의 경우 2013년 매출액 478억원에서 지난해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는 1·4분기에만 지난해 인터파크 전체 매출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11번가도 지난 2월 SK플래닛과 합병하고 생활플랫폼 사업을 확대하는 등 온라인시장에서 종횡무진하고 있다.

온라인쇼핑 업체의 한 관계자는 『소셜커머스가 급성장했고, G마켓·옥션·11번가과의 격차도 너무 벌어져서 업계에선 인터파크를 더이상 경쟁업체로 신경쓰지 않는다』며 『인터파크의 오픈마켓 시장 점유율은 10%도 안될 것』이라고 잘라말했다.

특히 지난해 야심차게 준비했던 인터넷전문은행의 실패는 뼈아팠다. 이 회장이 사업다각화에만 몰두하는 사이 기업의 근간이었던 온라인 유통은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인터파크홀딩스 지배·종속회사 전체 매출액 가운데 아이마켓코리아(2조6,050억원)의 비중은 71.63%에 달한 반면 인터파크의 비중은 10.41%에 그쳤다.

업계에서는 이제라도 인터파크가 경쟁업체처럼 서비스 혁신을 앞세운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얼마전 모처럼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쇼핑 챗봇 서비스 「톡집사」를 선보였지만 비슷한 기술을 네이버·알리바바·아마존 등도 연구하는 만큼 차별화를 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다. 인터파크 관계자는 『출범 20주년을 맞아 특별하게 준비한 새 전략은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6-09 10:05: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