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오는 27일부터 2025년 하반기 공개채용에 돌입한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등 19개 계열사가 참여하며, 국내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삼성 임직원들이 삼성직무적성검사(GSAT)를 검토하고 있다. [사진=삼성]
이번 공채는 삼성커리어스를 통해 9월 3일(수)까지 지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 채용 절차는 직무적합성 평가(9월), 삼성직무적성검사(GSAT, 10월), 면접(11월), 건강검진 순으로 진행된다. SW 직군 지원자는 GSAT 대신 실기 기반의 역량 테스트를, 디자인 직군 지원자는 포트폴리오 심사를 거친다.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중공업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 △삼성서울병원 △제일기획 △에스원 △삼성웰스토리 등 19곳이다.
삼성은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신입사원 공채를 도입한 이후 약 70년간 제도를 유지해왔다. 1993년 대졸 여성 신입사원 채용 신설, 1995년 학력 제한 폐지 등 ‘열린 채용’을 선도해왔으며, 자체 개발한 GSAT를 통해 공정한 인재 선발 체제를 확립했다.
올해 공채는 청년층을 넘어 고졸 인재 확보까지 확대된다. 삼성은 무상으로 SW·AI 교육을 제공하는 ‘삼성청년SW·AI아카데미(SSAFY)’를 전국 5개 캠퍼스에서 운영 중이며, 최근 교육 대상을 마이스터고 졸업생까지 넓히고 AI 중심 커리큘럼으로 개편했다. 또,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를 특별 채용하고 채용연계형 인턴십 제도도 운영한다.
삼성은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유지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을 이어가고 있다. 동시에 직원들의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직급 통폐합, 연한 폐지, 평가제도 개선 등 인사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SSAFY와 C랩 아웃사이드, 희망디딤돌 2.0 등 다양한 청년·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공채 제도를 통해 청년들에게 예측 가능한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우수 인재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