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대표이사 이정애)이 민간 주도의 기술 보호 확산을 위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 협약에 가입하며 대·중소기업 간 상생에 앞장선다.
최남수(오른쪽에서 두번째) LG생활건강 상무가 지난 11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상생형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생협약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지난 11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상생형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생협약식에서 상생 기금 출연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중소기업벤처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GS리테일, KT, 한국동서발전, 부산항만공사가 참여한다. LG생활건강은 협력회사들을 대상으로 보안정책 사업비와 컨설팅 비용 등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PC·문서 보안 솔루션, 백신, 방화벽, 정보보안 클라우드 등 기술유출방지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지만 비용 부담이 있는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시작됐다. LG생활건강도 협력회사가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면 중요 사업 데이터와 기술 유출을 막고 공급망을 안정시킬 수 있어 앞으로 협력회사가 기술 보호 시스템 구축할 때 드는 비용을 정부와 분담할 예정이다.
최남수 LG생활건강 ESG/대외협력부문 상무는 “정보통신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 보안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라며 “글로벌 시장 진출과 차별적 고객가치 실현의 차원에서 LG생활건강은 사업 파트너들의 기술 보호 강화에도 많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