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성수대로 남단 교차로에서 차량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더밸류뉴스]
[더밸류뉴스= 이경서 기자] 우리나라 국민은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에 진입해 59세에 적자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 전환 시기는 2015년 58세에서 2016년 59세로 늦춰졌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26세까지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가 발생한다. 적자는 16세에 2867만원으로 최대가 된다. 27세에 흑자 전환하고 41세에 1435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기록한 뒤 59세부터 다시 적자 인생에 돌입한다.
국민이전계정은 통계청이 올해 1월부터 발표하고 있는 연령간 경제적 자원의 배분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다. 국민 전체의 연령별 노동소득과 소비, 공적이전, 가구 내와 가구 간 사적이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1인당 생애주기적자. [사진=통계청]
2016년 전 국민의 생애주기적자는 2015년보다 1.6% 줄어든 110조3000억원이었다. 소비는 3.8% 증가한 952조4000억원이었으며 노동소득은 4.5% 증가한 842조1000억원이었다. 노동소득의 증가폭이 소비보다 커 적자규모가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30조6000억원과 92조4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유년층의 적자규모는 1년 전보다 7400억원 줄어든 반면 노년층의 적자규모는 7조5220억원 늘었다. 고령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노동연령층(15~64세)의 흑자규모는 112조7000억원으로 8조5410억원 늘었다.
65세 이상 적자폭은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 보건 소비는 유년층에서 5조원, 노동연령층에서 33조5000억원, 노년층에서 25조3000억원 발생했다. 노년층의 공공보건 소비는 1년 새 12.6% 늘어나며 유년층(6.9%)과 노동연령층(8.0%)의 증가율을 넘었다. 노년층의 공공보건소비는 전체의 39.6%로, 2010년 이후 매년 10% 내외로 증가 추세다. 2016년 노년층의 민간소비 역시 69조7480억원으로 1년 새 5.1%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