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판매에 대한 금융감독원 검사를 앞두고 관련 전산자료들을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나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판매에 대한 금융감독원 검사를 앞두고 관련 자료들을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KEB하나금융그룹 사옥. [사진=더밸류뉴스]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은 8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하나은행이 DLF 검사를 앞두고 전산 자료를 삭제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관련 사실을 확인하며 "포렌식 요원을 투입해 복구 중으로 복구율이나 건수는 정확히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지 의원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전산 자료 삭제 정황은 금감원이 지난 1일 DLF 사태에 대한 중간검사 결과를 발표한 뒤에 추가 검사에 착수했을 때 드러났다. 금감원은 전산 자료 복구를 위해 금융보안원 전문 인력도 동행했다.
지 의원이 "조직적으로 자료를 삭제했다면 검사 방해"라고 지적하자 윤 원장은 "그 부분에 대해서 검사도 더 하고, 법률 검토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나은행은 '은행권 채용비리' 검사 때도 채용 관련 자료를 삭제했고, 금감원은 하나은행의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이를 복원해 비리를 밝혀냈다. 윤 원장은 지 의원이 '엄중 조치'를 주문한 데 대해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