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에만 2조원 규모의 돈이 휴지조각이 됐다. 찢어지거나 불에 타는 등 더 쓸 수 없어 폐기된 것이다.
16일 한국은행의 ‘2019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올 상반기 3억5000만장(2조2724억원)의 손상화폐가 폐기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하반기인 2조2399억원보다 13.2% 증가했다.
[사진=한국은행]
최근 3년간 손상화폐 폐기 규모는 증가세이다. 2016년 3조1142억원이었으나 지난해에는 4조2613억원으로 늘었다.
수명을 다한 손상화폐의 대부분은 은행권 지폐로 2조2712억원(3억3000만장)에 달한다. 권종별로는 1만원권이 1억8000만장으로 전체의 53.7%를 차지했다. 이어 ▲1000원권(1억3000만장) 39.3%, ▲5000원권(2000만장) 5.4%, ▲5만원권(1000만장) 1.6%였다.
폐기된 동전(주화)은 1340만개로 10원짜리가 600만개로 전체의 44.9%를 차지했다. 이어 100원짜리 동전이 470만개로 35.3%를 기록했다.
사람들의 손을 타며 망가진 돈도 상태에 따라 한국은행에서 멀쩡한 돈으로 바꿀 수 있다. 올 상반기 일반 국민이 한국은행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36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하반기(30억5000만원)보다 18.9% 늘어났다.
손상된 화폐 예시. [사진=한국은행]
화폐 손상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장판 밑 눌림과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절한 보관 때문이었다. 이는 1054건으로 전체 교환액의 39.5%를 차지했다. 이어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상 부주의(39.1%), ▲불에 탄 경우(21.4%) 등이 있었다.
한은은 “손상된 화폐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할 때 483억원의 비용이 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