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버핏연구소=김승범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가 지난해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기술수출을 성공했다.

1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해외 기술수출은 총 8건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체들이 금액을 비공개로 한 것을 제외하더라도 12억3400만 달러(약 1조31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제약기업 해외 기술수출

[자료: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 중 계약규모가 가장 큰 건은 

제넥신(095700)이 개발 중인 면역치료제 「하이루킨」이다. 하이루킨의 총 계약규모는 5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계약금 1200만 달러와 중국에서의 임상시험 성공에 따른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5억4800만 달러를 받는다. 계약금은 반환의무가 없으며 임상시험 성공 후 상용화 돼 판매하면 별도로 로열티를 받는다.

지난해 12월 중국 바이오기업 아이맙 바이오파마(I-Mab)에 수출된 하이루킨은 몸속에 존재하는 인터루킨-7의 효능과 안정성을 강화시킨 신약이다.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효능을 지녔다.

제넥신의 「하이루킨」의 계약금액이 가장 큰 가운데 한올바이오파마(009420)의 「HL161」(5억250만 달러), 한올바이오파마의 자가면역질환 항체의약품 「HL161」와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8100만 달러), 영진약품(003520)의 「KL1333」(5700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8-03-15 14:06: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재계 지도 포럼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재무분석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