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버핏연구소 김승범 연구원]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국제 항공여객은 1억936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항공 관련주들의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다르면 지난해 국내외선 전체 항공여객은 모두 1억936만명으로, 2016년 1억391만명에 비해 5.2% 증가했다. 지난 2016년 처음으로 1억명을 돌파한 이후로 2년 연속 1억명 이상을 돌파했다. 우리나라 항공여객은 2013년 7334만명, 2014년 8143만명, 2015년 8941만명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여객항공

국제선 여객은 중국의 사드 제재와 북핵 이슈에 따른 수요 감소 요인에도 LCC(저비용항공사) 운항 확대 및 원화 강세에 따른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한 7696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6개 저비용항공사의 국제여객은 2030만명으로 전년대비 41.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중국 노선 승객이 29.8% 급감했으나 일본(26%), 동남아(17.9%), 유럽(16.1%) 노선 등에서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며 국제선 전체 여객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중국노선 여객은 지난해 3월 중국의 방한 단체여행 제한 이후 10개월 연속 감소세다. 다만, 지난해 4~7월에는 전년대비 40% 이상 감소율을 기록했으나 8월 이후 감소폭이 좁혀지는 추세다. 지난달 중국노선 여객은 전년대비 16.2% 감소하는데 그쳤다.

항공운송시장

국내선 여객도 좌석 공급 증대와 내국인 제주도 관광수요 확대 등으로 2016년 3091만명보다 4.8% 증가한 3241만명을 나타냈다. 국내선 여객은 2013년 2천235만명, 2014년 2천465만명, 2015년 2천798만명 등을 기록했다. 

한편 주식시장에서는 항공 관련주로 대한항공(003490)과 아시아나항공(020560)과 같은 대형 항공사와 제주항공(089590), 진에어(272450), 티웨이홀딩스(004870) 등 LCC항공사가 거론되고 있다. 또 하나투어(039130), 모두투어(080160), 참좋은여행(094850) 등 여행주도 여객항공 최대치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8-01-29 12:12: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