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민 인턴 기자
현대카드(대표이사 정태영 조창현)가 디지털 예술을 통해 ‘금융사옥 속 미술관’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에는 생성형 AI가 쓴 시가 매시간 새롭게 태어나며 관람객을 맞이하고, 기업은 이를 통해 기술과 문화의 접점을 넓히는 방식을 시험한다.
현대카드는 ‘현대카드 MoMA 디지털 월’에서 미국의 인공지능(AI) 시각 예술가 사샤 스타일스(Sasha Stiles)의 작품 「A LIVING POEM(살아있는 시)」을 공개했다. [이미지=더밸류뉴스]
현대카드는 ‘현대카드 MoMA 디지털 월’에서 미국의 인공지능(AI) 시각 예술가 사샤 스타일스(Sasha Stiles)의 작품 '살아있는 시(A LIVING POEM)'을 공개했다. 작품은 인간의 글쓰기 방식과 컴퓨터 알고리즘을 결합해 60분마다 스스로 재창조되는 디지털 시(詩)로 구현됐다.
작품 제작에는 스타일스의 창작 방식을 기반으로 개발된 AI ‘테크넬리지(Technelegy)’가 참여했다. 이 시스템은 뉴욕현대미술관(MoMA)이 보유한 텍스트 자료를 학습해 새로운 시를 생성하며, 영상과 사운드로 관객에게 제시된다.
관람객은 ‘디지털 월’ 앞 QR코드를 통해 시의 움직임과 함께 변하는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청각적 풍경)를 체험할 수 있다. 작품에는 작가의 손글씨뿐 아니라 직접 창안한 ‘커시브 바이너리(Cursive Binary, 필기체 이진법)’도 활용됐다.
이번 전시는 현대카드와 MoMA의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큐레이터 교류 프로그램’ 결과물이다. MoMA 미디어·퍼포먼스 부문 마사 조지프(Martha Joseph) 큐레이터와 송주연 큐레이터가 공동으로 기획했다.
개막 행사에는 이달 초 MoMA 관장으로 취임한 크리스토프 셰릭스(Christophe Cherix)가 방한해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과 함께 전시장을 찾았다. 양측은 약 20년간 이어온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향후 파트너십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