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과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이 서울에서 만나 소형모듈원전(SMR)과 백신 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글로벌 에너지·바이오 파트너십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한국 정부와 협력 기반의 ‘한국형 SMR’ 생태계 구축 필요성에도 뜻을 같이했다.
최태원 SK 회장(오른쪽)이 지난 21일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찬 회동을 갖고 악수를 나누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최태원 회장과 빌 게이츠 이사장은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찬 회동을 갖고 SK와 테라파워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SMR 상용화 사업, 백신 연구·개발 협력 현황 등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는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설루션사업단장, 최윤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CEO도 함께했다.
22일 오전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후속 회의에는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 김무환 단장, 게이츠 이사장과 르베크 CEO가 참석했으며, 정부 측에서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안세진 원전산업정책국장이 합류했다. 이들은 한미 협력 기반의 한국형 SMR 생태계 구축과 국제 파트너십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SK와 테라파워는 투자 및 기술 개발 진행 상황, 한국수력원자력과의 공동 사업화 협력 현황을 공유했다. 테라파워가 개발 중인 ‘나트리움(Natrium)’ 원자로는 소듐냉각 고속로(SFR) 기반으로 상압 운전과 무전원 공기냉각 기능을 갖췄으며, 열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해 출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김무환 단장은 “SMR은 탄소 감축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겨냥하는 차세대 기술”이라며 “테라파워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 생태계 조성과 해외 진출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SK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8월 테라파워에 2억5000만 달러(약 3375억원)를 공동 투자해 2대 주주에 올랐으며, 지난해 3월에는 한국수력원자력·테라파워와 차세대 SMR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테라파워는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상업용 첨단 SMR 플랜트 건설을 진행 중이며,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절차에 따라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계와 업계는 이번 최 회장과 빌 게이츠의 만남을 계기로 한국의 에너지 안보와 글로벌 SMR 시장 진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는 백신과 원전 분야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에너지·바이오 두 축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워간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