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권소윤 기자]

휴온스(대표이사 송수영)가 미국의 ‘최혜국 약가 제공’ 행정명령과 관련해 “주력 수출 품목인 국소마취제의 미국 수출에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고가 의약품이 주된 타깃인 만큼 필수의약품 위주의 주사제는 가격 조정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휴온스는 13일 미국 정부가 시행을 예고한 약가인하 행정명령이 “국소마취제와 같은 필수의약품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입장을 밝혔다.


휴온스, 트럼프 약가 행정명령에 \휴온스가 미국의 '약가인하 행정명령'에 대해 발표한 입장의 주요 내용 요약 도표 [자료=더밸류뉴스]미국 백악관은 전날(현지시간 12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보건사회복지부(HHS)에 미국 내 처방의약품 가격을 다른 선진국에 판매하는 가격 수준으로 낮추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명령은 HHS에 △30일 이내 가격 기준 제시 △미시행 시 정부지출 제한 등의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백악관이 함께 공개한 설명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처방약 가격이 OECD 국가보다 평균 3배 이상 비싸다는 점을 정책 근거로 삼았다. 이에 따라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등 유통 구조를 개편하고, 정부가 약가 협상에 직접 개입하는 구조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휴온스는 “이번 정책은 고가 의약품의 지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약가 차이가 큰 일부 항암제나 희귀질환 치료제가 주된 타깃이 될 것”이라며 “국소마취제 등 저가·필수 치료제에는 적용 범위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현재 휴온스는 생리식염주사제, 리도카인염주사제 등 총 7종의 FDA 품목허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1% 및 2% 리도카인 멀티도즈 바이알 제품에 대해 추가 승인을 획득했다.


휴온스는 리도카인 제품이 세계보건기구(WHO)의 필수의약품 목록과 미국 FDA의 공급부족의약품 리스트에 모두 등재된 점을 강조하며 “해당 품목은 오히려 수급 안정성 차원에서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휴온스 관계자는 “이번 행정명령으로 미국 제약시장의 가격 구조에 변화가 있겠지만, 당사의 주요 수출 제품군은 필수·저가 치료제에 해당하기 때문에 수출영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vivien9667@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5-13 17:54: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재계 지도 포럼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