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291159_106154_2354

이마트가 제주소주 인수를 통해 소주시장에 진출한다.

9일 주류업계와 신세계그룹 등에 따르면 이마트는 제주도에 기반을 둔 제주소주를 인수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조만간 추가 협의 및 실사 등을 거쳐 최종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최종계약을 맺으면 제주소주는 이마트의 자회사로 분류된다.

인수 가격은 3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딜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이마트 관계자들이 수차례 제주도에 내려가 제주소주 측과 긴밀한 협상을 벌인 것으로 안다』며 『조만간 인수를 최종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마트는 소주사업에 관심을 보여 왔다. 법적으로 주류는 PB상품을 내놓을 수 없기 때문에 무학과 협업해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택하기도 했다.

제주소주는 지난 2011년 자본금 25억으로 설립돼 2014년 「곱들락」, 「산도롱」 소주를 출시했다. 그러나 제주를 기반으로 한 「한라산」 소주에 밀리며 시장 안착에 실패하고 올해 초 매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매출은 1억 4,000만원, 당기순손실은 32억원 규모다.

이마트 관계자는 『제주소주를 향토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적극 투자할 방침』이라면서 『이후 문화 콘텐츠를 결합해 제주를 상징하는 한류 상품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이마트는 제주소주를 경쟁력 있는 2차 산업 모델로 키워 제주도와의 사업적 관계 및 상품 매입 규모를 늘릴 예정이다. 아울러 중국, 베트남, 몽골 등 이마트가 진출한 국가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 등 제휴를 맺고 있는 대형 유통채널과의 주문자 상표 제작(OEM) 등 대규모 수출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같은 이마트의 움직임에 보해 , 하이트진로, 롯데주류 등 기존 소주 제조업체들은 추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왜냐하면 이마트는 전국 매장에서 제품을 부각시켜 단기간 내에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에 물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이뤄져야한다. 제주소주는 한 달에 1,000여상자밖에 팔리지 않는 소규모 업체다. 따라서 국내 소주 제조업체들은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6-10 10:21: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