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137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K-IFRS 연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6%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183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3.8%,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54%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 당기순이익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버핏연구소]
여신이자 수익을 제외한 비이자 수익이 2818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 증가하며 전체 영업수익 중 35.9%를 차지했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트래픽 확대와 수신 성장을 바탕으로 한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균형잡힌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1분기에만 57만명의 신규 고객이 유입되며 1분기 말 고객 수 2545만명을 달성했다. 고객 기반 확대는 수신 성장으로 이어져 전분기 대비 5조4000억원 성장했다. 수신잔액은 처음으로 60조원을 돌파해 60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2027년가지 3000만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총 수신 90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신 잔액은 44조3000억원으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분기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6000억원 규모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하며 포용금융에도 앞장섰다. 지난 1분기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 대출 잔액 비중은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지난해 1분기 대비 2배 늘어난 2조3000억원으로 소상공인 금융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첫 해외 진출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한 인도네시아 디지털은행 ‘슈퍼뱅크’는 런칭 1년도 되지 않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9월 태국 금융지주사 SCBX(SCB X Public Company Limited)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태국 중앙은행에 제출한 ‘가상은행(Virtual Bank)’ 인가 신청서의 승인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
카카오뱅크는 "압도적인 고객 트래픽을 토대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성장 동력을 강화하고 전 부문의 고른 균형잡힌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올해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바탕으로 포용금융을 확대하고 혁신적인 신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고객에게 첫 번째로 선택받는 종합 금융 플랫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