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내부. [사진=더밸류뉴스]
[더밸류뉴스= 이경서 기자] 대형 유통업체들이 대기업보다 중소·중견기업에 더 많은 판매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대형 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율 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중견기업이 부담하는 실질 판매수수료율은 대기업에 비해 2.0%~13.8%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면실태조사는 지난 한 해 동안 백화점 6개과 TV홈쇼핑 7개, 대형마트 5개, 온라인몰 7개, 아울렛 6개, 편의점 5개 등 6개 업태 36개 유통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대형 유통업체가 실제 수수료를 수취한 비율인 실질수수료율은 모든 업태에서 전년대비 0.1%~2.8%포인트 하락했다.
가장 높은 수수료율을 책정한 곳은 TV홈쇼핑(29.6%)이었다. 납품업체가 매출의 3분의 1에 달하는 수수료를 부담했다는 뜻이다. 이어 백화점(21.7%), 대형마트(19.6%), 아울렛(14.7%), 온라인몰(10.8%)의 순이었다.
업체별로 보면 NS홈쇼핑(39.1%), 롯데백화점(22.7%), 이마트(20.4%), 뉴코아아울렛(20.3%), 티몬(1.2%) 순으로 집계됐다.
모든 업태에서 대기업보다 중소·중견기업에 더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었다. TV홈쇼핑이 대·중소기업간 실질수수료율 차이가 13.8%포인트로 가장 컸다. 가장 작은 업태는 백화점(2.0%포인트)이었다. 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도 중소·중견기업이 대기업보다 각각 5.0%포인트, 4.9%포인트, 4.6%포인트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부담하고 있었다.
권순국 공정위 유통거래과장은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실질수수료율 차이가 크게 나타나 중소 납품업체의 수수료 부담이 여전히 큰 상황"이라며 "내년부터는 남품·입점업체의 계약갱신 기간이 매년 초 이뤄지는 점을 고려해 조사 결과를 조기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