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18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신혼부부의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의 특성별 출생현황. [사진=통계청]
초혼 신혼부부 105만2000쌍 중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는 42만3000쌍으로 전체의 40.2%를 차지했다. 지난해(37.5%)에 비해 2.6%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외벌이 부부가 맞벌이 부부보다 자녀를 갖는 비율이 더 높았다. 맞벌이 부부 중에서 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54.3%로 외벌이 부부(65.7%)보다 낮았으며, 맞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도 0.66명으로 외벌이 부부(0.83명)에 비해 적었다. 특히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53.8%로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66.8%)보다 낮았다.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64.8%)가 무주택 신혼부부(56.0%)보다 자녀 출산 비중이 높았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1명이며, 무주택 부부의 경우 0.69명이었다.
특히 소득이 높아질수록 자녀 출산 비중은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1000만원 미만을 버는 부부가 무자녀인 비율은 36.5%였으나, 7000만원~1억원 미만을 버는 부부의 경우 47.3%, 1억원 이상을 버는 부부의 경우 48.6%에 달했다. 1억원 이상 버는 부부 2쌍 중 1쌍은 자녀를 낳지 않는 셈이다.
통계청은 이를 두고 “상위 소득구간에 위치한 신혼부부일수록 자녀를 출산하지 않은 부부의 비중이 하위구간의 신혼부부에 비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부부의 소득이 맞벌이 여부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