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커피전문점 6곳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 결과 '할리스커피'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스타벅스는 2위를 기록했다.
스타벅스 음료와 디저트. [사진=더밸류뉴스]
25일 한국소비자원은 매출액 상위 6개 커피전문점의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밝혔다.
조사 대상은 6개 전문점을 이용해본 소비자 1031명으로 소비자 만족도는 커피전문점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 등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커피전문점 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사진=한국소비자원]
종합만족도는 3가지 기준을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6곳 종합만족도는 평균 3.88점이었다.
사업자별로 할리스커피가 3.95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스타벅스 3.93점, △엔제리너스 3.86점 순이었다. 2017년과 비교 시 △할리스커피(+0.23점), △엔제리너스(+0.13점), △커피빈(+0.13점), △투썸플레이스(+0.12점), △스타벅스(+0.10점), △이디야커피(+0.10점) 등 6개 사업자 모두 종합만족도 점수가 올랐다.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97점이었다. 사업자별로 △스타벅스 4.12점, △할리스커피 3.99점, △투썸플레이스 3.93점 순이다.
상품 특성 만족도는 제품, 매장 접근성, 매장이용 편의성, 가격 및 부가혜택 등 4개 요인으로 평가했다. 이 중 매장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05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격 및 부가혜택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7점으로 가장 낮았다. 호감도는 평균 3.78점이었다. 사업자별로 △할리스커피 3.85점, △엔제리너스 3.83점, △커피빈 3.80점이었다.
소비자들이 커피전문점을 골라가는 가장 큰 이유는 ‘지리적 접근성’이 49.0%를 차지했다. 이어 △'제품의 맛' 24.7%, △'분위기' 8.2% 등의 순이다.
커피전문점 1회 방문 시 평균 이용 금액은 '5000원'이 23.2%로 가장 많았다. 이와 함께 △'6000원'은 20.7%, △'1만원 초과'는 16.3%를 차지했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커피(아메리카노) 1잔의 적정가격을 조사한 결과 3055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도 2886원과 비교해 169원 상승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사업자와 공유하여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및 서비스 분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서비스 비교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