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사장 김재관)가 1년간 전국 명산 주변 상권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단풍철 가을(9~11월) 매출 비중이 28%를 차지하며 가을 관광이 지역 소비 회복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장산과 주왕산 인근 상권의 매출이 각각 237%, 158% 급증하며 ‘가을 효자 산’으로 부상했다.
KB국민카드, 걷기 좋은 가을 단풍 명산 주변상권 분석. [자료제공=KB국민카드]
KB국민카드는 지난해 9월부터 2025년 8월까지 1년간 전국 국립공원을 품은 명산 입구 주변 상권을 방문한 고객의 신용·체크카드 결제데이터 약 150만건을 분석했다.
가을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주왕산(56%), 내장산(52%), 속리산(38%) 순이었다. 월악산·지리산·계룡산·소백산은 여름철, 덕유산은 겨울철, 설악산·오대산은 가을과 여름 모두 매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단풍이 절정인 시기(단풍 절정일 전후 1주일)에는 인근 상권 매출이 2주 전보다 평균 2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음식점 27%, 카페 24%, 편의점·슈퍼 17% 늘었다. 내장산의 절정기 매출 증가율은 237%로 가장 높았고, 주왕산 158%, 덕유산과 속리산 각 38%, 오대산 29% 순이었다.
가을철 명산 주변 상권의 음식점 매출 증가율은 내장산 250%, 주왕산 165%, 덕유산 46%, 속리산 36%, 설악산 28%, 오대산 27%였다. 외부 지역 방문객 비중은 설악산 92%, 오대산 89%, 계룡산 88%, 주왕산 84%, 내장산 82%, 속리산 74%로 수도권 관광객 중심의 소비 패턴이 두드러졌다.
한식 전문점 주요 메뉴로는 설악산 지역에서 황태(70%)와 순두부(10%), 오대산은 국수·칼국수(41%)와 회(27%), 계룡산은 두부요리(20%)와 오리고기(18%), 주왕산은 회(27%)와 삼계탕·백숙(26%)이 각각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번 분석은 가을 단풍철 관광이 지역 상권 회복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KB국민카드 KB Pay 내 ‘Plus 슬기로운 생활 T.I.P’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