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해 ‘AI CIC(Company in Company)’를 공식 출범시키며 AI 대전환 가속화에 나섰다. 유영상 CEO가 직접 대표를 겸임하는 이 조직은 빠른 의사결정과 기민한 실행력을 갖춘 정예 체계로 운영되며,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원 이상을 목표로 한다.
SK텔레콤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해 ‘AI CIC(Company in Company)’를 공식 출범한다. [이미지=더밸류뉴스]
이번 출범은 25일 유영상 CEO가 전사 타운홀 미팅에서 직접 발표한 내용으로, 그는 “AI 환경 변화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내부와 외부 양방향 혁신이 필요하다”며 “AI CIC는 SKT뿐 아니라 SK그룹 전체 AI 사업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CIC는 △에이닷(A.) 서비스 △기업용 에이닷 비즈(A. Biz) △AI 데이터센터(DC)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R\&D △메시징·인증 사업 등을 통합 운영한다. 이를 통해 사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디지털 트윈·로봇·풀스택(Full Stack) AI 역량 개발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SKT는 향후 5년간 약 5조원을 AI 분야에 투자해 △AI B2C에서는 에이닷 기반 글로벌 가입자 확대 △AI B2B에서는 제조 등 산업현장 생산성 혁신 레퍼런스 확보 △AI DC에서는 글로벌 빅테크 유치와 정부 사업 주도 등을 통해 독자적 수익구조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내부 혁신에도 속도를 낸다. AI 역량을 가진 인력을 조직 전반에 배치해 전사 AI 경쟁력을 높이고,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및 고객 접점 혁신 등 AX(AI Transformation)를 추진한다. 특히 ‘에이닷 비즈’ 사내 활용 확대, AI보드 운영 등 제도적 장치를 통해 AI 중심의 기업문화 정착을 도모한다.
아울러 SKT는 AI 혁신과 더불어 보안 혁신, 본원적 경쟁력 혁신(O/I)을 3대 과제로 설정했다. 보안 거버넌스 강화와 제로 트러스트 체계 도입, 통신 인프라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고객 신뢰 회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유영상 CEO는 “SK텔레콤은 에이닷 1000만 가입자 확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선정,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성과를 쌓아왔다”며 “AI CIC를 중심으로 또 한 번의 도약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이자 글로벌 AI 컴퍼니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