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면세점

고고도미사일 방어(THAAD·사드)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국내 면세점 업계가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계 1위인 롯데면세점도 2분기에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하는 등 면세점 업체들의 상반기 영업이익 감소와 적자가 이어졌다.

17일 면세점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1분기 영업이익이 372억원을 기록했으나, 2분기에 29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이 74억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매출도 2조5,530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6.6% 줄어들었다. 특히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은 909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실적부진이 더욱 눈에 띈다. 

롯데면세점의 적자 전환은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이후 14년 만으로 알려졌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사드 이슈로 인해 중국인 매출 감소가 가장 큰 타격을 줬다』며 『이밖에 특허수수료 및 공항임대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업계 2위인 신라면세점은 영업손실을 기록하진 않았으나, 지난해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9% 감소한 173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7% 줄어든 8,997억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431억원에서 올해 249억원으로 42.1% 감소했다.

특히 면세점 사업을 담당하는 TR 부문 실적 감소가 두드러졌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900억원, 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 47% 추락했다.

이밖에 신세계면세점은 2분기에 4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갤러리아면세점(-150억원), 두산면세점(-64억원) 등도 적자를 이어갔다.

한편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상반기 381만6,756명에서 1년 새 225만2,915명으로 41% 줄었다. 중국 정부가 단체관광을 제한한 3월부터 6월까지만 놓고 보면 274만8,367명에서 109만6,882명으로 60.1%나 줄어들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8-17 11:40: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