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296091_115174_331

올해 2분기 글로벌 반도체 D램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점유율 75%대에 0.1% 차이로 다가섰다. 지난 분기 제품 단가가 떨어지면서 매출이 크게 하락하지만 2분기에 회복세를 보였다.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는 12일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가별 점유율에서 한국은 74.9%를 기록해 미국(19.2%), 대만(5.9%)을 압도했다. 지난 분기(74.4%)보다 국가별 점유율은 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의 국가별 점유율(75.2%)에는 약간 미치지 못했다.

업체별로 보면 2분기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47.4%로 전분기보다 1.0%포인트 올라갔다. SK하이닉스는 점유율이 27.1%에서 26.5%로 소폭 떨어졌다. D램 시장 3위 업체인 미국 마이크론도 2분기에 점유율(19.0%)을 0.5%포인트 높였다.

삼성전자의 2분기 D램 매출은 43억1,800만달러(약 4조7,500억원)로, 1분기(39억7,200만달러)보다 8.7% 증가했다. SK하이닉스도 24억900만 달러(약 2조6,500억원)의 매출을 올려 1분기(23억1,700만달러)보다 4.0% 증가했다.

두 회사는 지난 1분기에는 D램 제품 단가가 하락하면서 매출이 전 분기에 비해 각각 16.6%, 19.2% 급감한 바 있다. 다만 2분기 회복세로 돌아선 셈이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8-12 12:46: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