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정부가 게임산업육성에 99억 원을 추가 투입할 전망이다.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등 신규 플랫폼 대응 등 차세대 게임 제작 지원을 통한 국내 중소 게임기업 경쟁력 강화 및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 목적이다. 특히 이미 상반기에 총 35개 작품에 88억 원의 제작 지원이 이뤄졌으나 추가 지원을 요청하는 중소 게임기업의 요구가 많았다는 설명이다.

2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올해 게임산업 육성 관련 예산을 기존 351억 3,400만원에서 450억 7,800만원으로 99억 4,400만원 증액한다.

증액분은 차세대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 56억원, 건전 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기능성게임 활성화 지원 7억원, 가상현실(VR) 등 첨단 융복합 게임콘텐츠 활성화 지원에 32억원, 모바일 게임산업 육성을 위한 현지화 지원 3억 5,000만원 등이다.

1363521562306_1_205932_59_20130317215402

차세대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의 경우 온라인게임 24억 원, 모바일게임 32억 원으로 구성된다. 문화부는 8월 중 사업계획을 수립해 11월 중 지원업체를 선정(온라인게임 15개, 모바일게임 20개)하고 지원금의 80%를 1차 지원할 예정이다. 20%의 제작지원 잔금은 내년 11월 지급 예정이다. 

첨단 융복합 게임 선도게임 콘텐츠 제작 지원의 경우 2억 500만 원씩 총 20개를 지원한다. 역시 올해 지원금의 80%를 지원하고 내년에 나머지 20%를 지원하는 형태다. 기능성게임 활성화의 경우 기능성게임 제작지원에 4억4,640만원(3개),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 제작 지원에 2억6,720만원(2개)을 지원한다. 모바일게임 현지화 지원의 경우 언어 및 번역 지원에 2억5,200만원을 지원해 총 30개 업체의 현지화 작업을 돕는다. 관련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도 9,800만원(30개)을 투입한다. 현지화 지원의 경우 8월 중 사업계획을 수립해 9월 지원 용역업체 입찰 공고, 11월 업체 선정, 12월 지원 대상 업체 선정 등을 진행 예정이다.

문화부는 이번 예산 증액을 통한 사업 확대로 중소게임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했다. 특히 상반기 제작 지원 사업을 진행하면서 중소 게임기업의 추가적인 지원 요청이 쇄도했다는 설명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정부는 이미 상반기에 차세대 게임 콘텐츠 제작 지원, 첨담 융복합 게임콘텐츠 제작 지원, 기능성게임 제작 지원,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 제작 지원, 동계스포츠게임 제작 지원 등 5개 분야에서 총 35개 작품, 총 88억원 등을 지원했다.

이와관련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관계자는 『이번 추경 편성은 기존 제작 지원 사업을 보다 확대하는데 초첨을 맞췄다』라며 『상반기 제작 지원 사업을 진행하면서 확대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8-05 14:05: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