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art_1459137383

현대상선이 5일 신주상장을 완료하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자회사가 된다.

현대상선은 40년 만에 현대그룹을 공식적으로 떠나게 됐다. 또 채권단 관리체제에서 재무적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고 경영 정상화에 매진하게 된다. 채권단은 늦어도 9월초까지 현대상선을 이끌 최고경영자(CEO)를 뽑아 회생을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에 돌입할 방침이다.

1976년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버려진 유조선 3척으로 세운 현대상선은 당시 아세아상선이라는 국적 선사로 출발해 설립 5개월만에 운항사업 면허를 취득했고 1978년 극동~중동 노선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현대상선이라는 사명은 1983년부터 썼다. 이후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부친인 고 현영원 전 회장이 설립한 신한해운과 합병으로 사세를 키웠다. 1990년대 후반에는 부산 감만과 전남 광양, 미국 타코마항 등 국내외에 컨테이너 터미널을 세우며 세계 8위 선사로 성장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세계를 강타하고 이후 운임이 폭락하면서 위기가 찾아왔고 결국 이를 극복하지 못한 현대상선은 40년만에 현대그룹 품을 떠나게 됐다.

현대상선은 앞으로 채권단의 공동관리 아래 경쟁력 있는 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경영 정상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약화된 신인도와 영업력을 회복하고 해운업 불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박 대형화 작업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현대상선은 지난 3월 말 기준 3,309%에 이르던 부채비율을 400% 이하로 낮추는 데 성공한 만큼 정부가 운용하는 선박펀드를 8∼9월 중 신청할 계획이다.

12억 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의 선박펀드를 이용해 초대형·고효율 선박으로 운항 선박 구조를 바꾸고 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과정에서 최근 새로 가입한 2M의 회원사들과 경영 전략을 공유해 중·장기적인 사업 모델도 구상한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8-04 15:57: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