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OTRA, “그린뉴딜 정책으로의 도약”

- KOTRA, ‘주요국 그린뉴딜 정책의 내용과 시사점’ 발간

- 미국, EU, 중국, 인도 등 정책 분석... “규제인 동시에 새로운 기회”

  • 기사등록 2021-01-06 10:26:54
기사수정
[더밸류뉴스=박유신 기자]

권평오 KOTRA 사장은 6일 보도자료를 통해 주요국 그린뉴딜 정책의 내용과 시사점’ 보고서 발간을 알렸다. KOTRA는 미국유럽연합(EU), 중국인도 등이 그린뉴딜 정책을 본격 도입 중인 것으로 파악했고 탄소배출을 줄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주요국 그린뉴딜 정책의 내용과 시사점 보고서. [이미지=더밸류뉴스(KOTRA 제공)]

미국은 올해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친환경 정책이 탄력 받을 전망이다바이든 당선인은 취임 즉시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협정에 재가입하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0(Net Zero)’을 목표로 연방예산 1.7조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이와 더불어 환경보호와 경제 재건을 목적으로 무공해 자동차와 청정에너지 도입스마트시티·그린시티 등 친환경 도시정책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유럽그린딜을 발표하며, 2050년까지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 대륙이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EU 집행위원회는 환경친화적인 경기 부양책으로 평가받는 유럽그린딜에 예산 1조 유로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유럽그린딜은 그린 모빌리티청정에너지에너지 효율순환경제 등 분야를 포함하지만 녹색공공조달제도 및 탄소국경세의 역외국 적용 등 녹색보호주의 확산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은 탄소배출 감축 요구에 대해 그동안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차별적 책임 원칙을 고수했다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책 마련 요구가 커지면서 최근 중국 정부는 206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발표하는 등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다른 주요국의 탈탄소 그린뉴딜 정책과 달리 중국은 신()인프라 정책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고 있다인프라의 범위를 정보·융합·혁신 분야로 확대하고 5G,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녹색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인도는 중국미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 3위 국가이지만 뚜렷한 그린뉴딜 정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력하면서 낙후된 인프라 개선을 위해 100대 스마트시티 건설에 역점을 두고 있다.

 

손수득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주요국의 그린뉴딜 정책은 규제인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작용한다며 우리는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녹색산업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녹색보호주의 확산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yusin213@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1-01-06 10:26: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