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현대자동차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올해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실적이 엇갈리면서 그 이유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차가 신흥국의 시장 침체로 고전하는 반면 기아차는 주력인 레저용 차량(RV)의 판매 호조를 앞세워 좋은 실적을 달성했다.

2016031810450198882_20160318104736_1

하루 앞서 현대차는 26일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액이 22조 3,5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5.5%, 10.8% 줄어들어 1조 3,424억원, 1조 7,681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영업이익은 러시아와 브라질 등 신흥국 통화 약세, 공장가동률 하락 영향 등으로 인해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현대차가 역대 1분기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으나 수익성이 둔화된 것도 신흥국 경제 상황이 한 몫을 했다는 평이다.

또 올 1분기 국내 판매는 신차 효과와 개별소비세 인하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3.7% 증가한 16만 577대였다. 그러나 해외 판매는 저유가에 따른 신흥국 및 중동시장 경기 침체로 전년 동기보다 7.9% 줄어든 94만 6,800대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국내외 전체 판매량은 지난해 1분기(118만 2,834대)보다 6.4% 줄어든 110만 7,377대에 그쳤다.

이노모터스_올뉴쏘렌토UM_(18)

반면 기아차는 올해 1분기 실적이 레저용 차량(RV) 판매 호조와 환율 상승으로 급증했다. 올해 1분기 매출 12조6천494억원, 영업이익 6천336억원, 당기순이익 9천446억원을 기록하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영업이익은 23.8% 늘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9,44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5.0%로 2개 분기 만에 5%대를 회복했다. 영업이익 증가율 23.8%는 2013년 4분기의 60.9% 이후 2년여 만에 최대다.

카니발·쏘렌토에 핵심 볼륨 차종인 스포티지가 가세하며 글로벌 시장에서RV 판매 비중이 늘고 있으며 최근 출시한 신형 K7과 모하비의 신차 효과에 원화 약세 효과 등 우호적인 환경이 손익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다.

20150508001087_0_99_20150508143709

올해 2분기는 신흥국 경기 부진 심화 및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둔화 조짐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차의 전략에 관심이 집중된다. 기아차는 신형 스포티지가 2분기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되는 데 이어 신형 K7과 니로 등 신차들이 내수 판매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5월부터 가동되는 기아차 멕시코 공장도 북미와 중남미 시장의 판매를 늘릴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4-27 13:11: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